물이 맑은 청정지역, 스웨덴 스웨덴은 바이킹의 후손이 세운 북유럽의 국가로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동부 핀란드와 노르웨이 사이에 있으며, 핀란드, 발트 3국과는 발트해를 사이에 두고 마주 보고 있다. 스웨덴은 환경보호의 선진국이며, 블로 에어(Blue Air)의 고향으로 공기 좋고, 물이 맑은 청정지역이기 때문에 스웨덴 국민은 거의 수돗물을 마시며, 먹는샘물의 품질이 좋지 않으면 쳐다보지도 않은 행복한 국가다. 아래(Åre) 마을은 11세기 초부터 원천(原泉)을 둘러싸고 청정 자연환경이 고요하고 깨끗해 많은 사람이 방문했다. 유럽 전역에서 온 순례자들은 트론헤임(Trondheim)에 있는 니다로스대성당(Nidaros Cathedral; 노르웨이의 바이킹 왕이자 수호성인 세인트 울라프(King Olav II, 995∼1030)의 무덤 위에 세워진 성당)으로 가는 길목은 아래마을 계곡을 거쳐 가야 하는 코스였다. 19세기 후반에 많은 환자가 니다로스 성당(Nidaros Cathedral)에 기도하고, 깨끗하고 맑은 공기로 치료하기 아래 마을의 계곡을 찾았다. 아래 수원지는 자연 그대로 순수하고 깨끗한 환경이 잘 보존된 아래 마을의 중심부에 있으며, 원시의 빙하시대에
2021-12-26 고재윤 칼럼니스트 티베트, 최소 24개 먹는샘물 회사 병입 중국의 많은 소수 민족 중에서 특히 그들만의 독특한 사상과 문화로 세계의 주목을 받는 달라이 라마의 고향, 티베트는 신비의 지역이고 마음의 안식처다. 티베트는 해발 4000~5000m의 히말라야산맥을 비롯한 거대한 산맥에 에워싸인 티베트고원에 자리하고 있어 세계의 지붕이다. 예로부터 해발이 높아 농사를 지을 수가 없었으며, 야크 고기를 주로 먹었고, 빙하수를 마셨기 때문에 늘 미네랄 결핍으로 단명했다. 몸속에 부족한 미네랄을 유일하게 보충할 수 있었던 것이 보이차다. 티베트 사람들에게 가장 중요한 보이차는 생명을 연장하는데, 크게 기여해 ‘생명의 차’라고 불렀다. 지금도 주식으로 짬파(Tsampa)라고 불리는 보이차를 차에 개어먹고, 추위를 이기기 위해 야크 버터 차를 마신다. 중국과 달리 티베트는 물이 풍부하지만, 자원은 무한하지는 않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티베트의 빙하가 줄어들고 있지만, 지하수 개발에 혈안이 돼 자연이 파괴됐고, 지난 20년 동안 빙하수도 15%가 감소했다. 또한, 환경 연구에 따르면 인공 댐과 산업건설 착취로 인해 히말라야 지역의 물 흐름 변화와 전 세계적인 기온 상승이 티베트 하류의 비정
2021-11-23 고재윤 칼럼니스트다양한 먹는샘물 리스트를 보유한 오스트리아 유럽의 중심지며, 예술의 도시인 오스트리아는 세계에서 많은 관광객이 찾아온다. 오스트리아는 봄, 여름, 가을, 겨울별로 색깔이 있지만, 해마다 겨울이 오면 빈에서는 400개 이상의 무도회가 열리고, 30만여 명이 넘는 사람들이 춤을 즐기기 위해 세계 각지에서 빈으로 찾아온다. 그리고 화려한 궁중 문화와 대자연이 공존하는 오스트리아에서 북이탈리아에서 전해진 비너슈니첼, 헝가리에서 영향을 받은 굴라시, 누구나 사랑받은 단맛의 수많은 케이크, 아이스크림 등을 체험할 수 있기에 더욱더 인기가 많을 수밖에 없다. 오스트리아에 가면 고급호텔, 레스토랑에 다양한 먹는샘물 리스트를 볼 수가 있다. 그중에 최근에 개발돼 시판되는 와일드알프 먹는샘물의 인기는 대단하다. 수돗물을 마실 수 있는 나라는 세계적으로 손에 꼽을 만큼 적지만, 오스트리아는 걱정할 필요가 없는 나라다. 국민은 수돗물을 시중에 팔고 있는 먹는샘물보다 맛이 좋다고 한다. 대부분의 수돗물 수원지가 알프스에서 녹아 내려오는 계곡의 물이니 이해가 된다. 또한, 오스트리아는 축복의 땅인 이유가 있다. 국가 차원에서 수생태계의 악화를 막기 위해 감시하는 덕분으로 세계 환경성
2021-10-17 고재윤 칼럼니스트이탈리아는 먹는샘물의 천국으로 지역마다 다양한 물맛을 볼 수 있어 여행의 즐거움이 배가된다. 이탈리아는 별미의 음식과 개성 있는 와인의 페어링 속에서 물맛이 주는 식탁은 풍요롭기만 하다. 이탈리아 심장부에 있고 유럽에서 가장 부유하고 가장 발전한 지역으로 삶의 지수가 가장 높은 에밀리아 로마냐(Emilia Romagna), 아드리아 해안을 끼고 있는 구릉지대의 상대적으로 경제적으로 안정됐지만 가난한 마르쉐(Marche) 사이에 있는 리미니(Rimini) 지역의 갈바니나(Galvanina) 마을에 유명한 갈바니나 먹는샘물이 있다. 갈바니나 먹는샘물은 갈바니나, 산 기울리아노(San Giuliano) 그리고 발 디 메티(Val di Meti)의 3개 광천수의 수원지를 갖고 있다.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갈바니나 먹는샘물은 청정지역으로 자연 친화적이고 오염되지 않은 미네랄과 기타 미량원소가 풍부할 뿐만 아니라 자연 그대로의 물을 취수해 수질을 인정받고 있다. 특히, 물의 순도, 청량감, 최적의 미네랄 균형감으로 소비자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어 에밀리아 로마냐로 여행 가는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높다. 특히 갈바니나에 수원지를 두고 있는 갈바니나 먹는샘물은 아펜니노 산(A
2021-09-26 고재윤 칼럼니스트루마니아에 여행을 가면 추방당한 옛 루마니아 왕실 후손들은 트란실 바니아(Transylvania)의 ‘드라큘라 백작의 성’으로 알려진 공포의 이야기가 회자하는 것을 싫어한다. 루마니아의 먹는샘물에 관한 정보와 특성은 널리 알려지지 않았지만 다양한 종류의 광천수를 생산하고 있다. 고급호텔, 레스토랑에 가면 1950년부터 전 세계적으로 수출됐 고 루마니아 브랜드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가벼운 탄산수 라이트 워터 (Light Water)인 보르섹(Borsec)을 만날 수가 있다. 루마니아 국민은 대부분 유명한 로마니안 탄산수(Romanian Springs)로 알고 있지만, 215년의 역사를 가진 세계적으로 유명한 보르섹 탄산수가 로마니안 탄 산수라는 것을 잘 아는 사람은 드물다. 보르섹은 4세기 로마 시대부터 치유 온천으로 알려져 왔다. 트란실바니아(Transylvania)의 동부 카르파티안 산맥(Carpathian Mts.) 심장부에 해발 900m에 있는 루마니아 하르기타(Harghita)의 고산지대는 침엽수가 울창해 힐링의 장소로 유명하다. 또한 15개 스파를 비롯한 광천수로 잘 알려져 있으며 특히 헝가리인이 주로 사는 작은 전통 마을로도 유명하다. 1687년에
2021-08-01 고재윤 칼럼니스트코로나19의 백신이 개발되고 전 세계적으로 여행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이다. 캐나다는 북 아메리카 대륙의 북부에 위치하고 동쪽으로는 대서양, 서쪽으로는 태평양, 북쪽으로는 북극해를 접하고 있다. 캐나다에 여행을 가면 호텔이나 레스토랑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먹는샘물이 ‘아이스버그 워터(Iceberg Water)’지만,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 때 스키 경기장으로 유명했던 그림 같이 아름다운 휘슬러(Whister) 마을의 스키 리조트에 방문해 마시는 휘슬러 먹는 샘물은 더욱 더 좋은 여행이 되게 할 것이다. 캐나다의 브리티시 컬럼비아에 있는 코스트(Coast)산맥은 세계적인 청정지역이면서 스키장으로도 유명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의 해안산맥의 높은 봉우리에는 고대 빙하와 만년설이 원시 그대로 남아있다. 이 곳은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만년설과 빙하 중에서 장엄한 빙하지대가 솟아 있다. 빙하지대는 태초 시대에 내린 눈으로 형성됐고, 북부 지역은 사람이 살지 않은 고립된 지역으로 빙하와 대수층은 사람과 산업 오염으로부터 철저하게 보호되고 있다. 해안산맥은 울창한 숲으로 넘쳐나며 나무의 밀도가 높아서 순도 높은 산소를 방출한다. 강풍은 해안산맥의 깨끗
2021-07-04 고재윤 칼럼니스트동해의 용왕이 마시는 해양심층수 ‘천년동안’ 1980년대 이후, 강원도는 여름(동해안 해수욕장), 가을(설악, 오대, 치악산), 겨울(스키장, 겨울 축제) 휴양지로서 조금씩 개발되기 시작하며 제주특별자치도와 더불어 한국 최대의 관광휴양지로 부상했다. 최근에 코로나로 인해 청정지역으로 소문이 나면서 많은 관광객이 붐빈다. 강원도를 방문하면 천혜의 자연경관과 함께 바다의 풍경도 가슴을 요동치게 한다. 그중에 동해의 용왕이 마시는 해양심층수 ‘천년동안’ 한잔은 시원하게 갈증을 해소해 준다. 강원도 고성(高城)은 백두대간의 한줄기를 타고 내려오는 동해안 최북단에 있으며, 동쪽으로는 화진포, 아야진, 오호의 청정 해변과 서쪽으로는 드높은 설악산, 북쪽으로는 자연 그대로를 간직한 비무장지대를 끼고 있어 천혜의 자연경관을 자랑하는 고장이다.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 오륙도부터 시작해 한반도 동해안을 종단하는 대한민국 최장의 걷기 여행길인 해파랑길의 종점이기도 하다. 1000년을 주기로 오는 아주 귀한 물 해양심층수 ‘천년동안’은 허준의 동의보감에 ‘벽해수’로 소개됐고, 물의 성질은 ‘약간 따뜻한 정도며, 맛이 짜고 약간의 독이 있으며, 이 물을 끓여서 목욕하면
2021-06-27 고재윤 칼럼니스트